본문 바로가기

자료실

[전국농민대회 8번 요구 해설] 정부는 GM작물 개발을 즉각 중단하고, GM작물개발사업단을 해체하라

11월 14일 전국농민대회 10대 요구 8번 요구 해설

 

생태계를 위협하고 농민의 종자주권과 국민의 식량주권을 말살하는 GM 반대!

 

정부는 GM작물 개발을 즉각 중단하고,

GM작물개발사업단을 해체하라

 

 

유전자조작작물(GM) 상용화를 위해 본격적으로 나선 정부

- 지난 9816차 유전자변형생명체(LMO) 포럼 세미나에서 박수철 농촌진흥청 GM작물개발사업단장은 올해 안에 GM벼에 대한 안전성심사를 신청할 계획이며 다만 아직 GM작물에 대한 국민적인 합의가 이뤄지지 않았고, 주식인 쌀에 대한 국민들의 정서가 민감한 것을 고려할 때 일단 밥쌀용이 아닌 산업용으로 안전성심사를 받을 계획이라고 발언함.

- 안전성심사에 착수하겠다는 것은 GM작물 품종 개발이 거의 막바지에 이르렀다는 말이며, 정부가 이를 최종 승인하면 GM작물의 상업적인 재배와 유통이 가능해짐. 게다가 GM, GM잔디, GM고추 등 GM작물 다수가 안전성심사 신청을 앞두고 있어 내년부터 국내 GM작물 개발이 본격화 하겠다는 의사를 공식 표명한 것임.

- 이는 정부가 산업용이라는 꼬리표를 달고 어설픈 꼼수를 쓰면서 국민들의 불안감이나 농민단체의 반발은 무시한 채 오히려 GM작물 개발과 상용화에 혈안이 되어 있음을 드러낸 것임.

 

정부는 GM작물 개발을 당장 중단하라! GM작물실용화사업단을 해체하라!

- GM작물 개발이 시작된 지 수십 년이 지났지만, 정부의 GM작물 개발의 명분인 안정적인 식량 확보는 해결되지 않고 있음. GM작물 개발의 명분으로 식량위기 극복을 내세우는 것은 허구임.

- 현재 GM작물은 위해성과 안전성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음.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끼칠지 불명확한 가운데 불안이 가중되고 있는 실정임.

몬산토사 라운드업 제초제: 불임증, 각종 암, 파킨슨병 등 유발과 연관

GM 식품: 글루텐 질병(과민성 알레르기) 등 유발과 연관

GM작물 재배: 꿀벌 멸종 위기와 연관

-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농촌진흥청 산하에 GM작물실용화사업단을 통해 매년 수십억 원의 예산을 낭비하며 GM작물을 개발하고 있음. GM작물실용화사업단의 GM작물 개발은 국민건강을 위협하고 식량생산 기반을 위태롭게 하는 일임.

정부는 친환경농업 육성정책을 중심으로 농업정책을 전면 대 전환하라!

- 정부가 식량 안보와 미래세대의 밥상을 걱정한다면 생태와 환경을 보전할 수 있는 농업, 친환경 유기농업으로의 정책 전환을 적극 추구해야 함.

- 친환경유기농산물로 안전한 먹거리를 제공해 도시와 농촌이 상생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는데 정부는 온 힘을 쏟아야 함.